[유튜브요약] 5월에 절대 하면 안되는 소비 알려드립니다 "생활비에서 반드시 없애세요. 제발 하지 마세요"
이번 영상은 계절지출 중 이벤트 자금에 관한 영상입니다.
계절지출은 얼마로 해야하는지에 대한 영상은 따로 있었는데
해당 영상을 찾으면 요약해봐야겠습니다.
00:35
5월만 되면 돈이 많이나간다.
5월 가정의 달 이벤트 자금을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까?
02:59
5월만 되면 방송국에서 연락이 온다.
5월의 이벤트 자금, 가정의 달 소비를 어떻게 해야하는가?
5월에 이벤트가 발생하는건 모두가 아는데 왜 문제가 되는가?
정확한 연간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06:04
이벤트 자금은 연간 계절지출 통장에서 따로 모아야 할 만큼
월간 지출에 큰 영향을 주는 가족과 친한 친구의
정기적인 기념일과 생일등에 사용되는 비용
1. 엄마생일
2. 아빠생일
3. 어버이날
4. 형제 생일
5. 애인 생일
6. 베프 생일
-> 베프는 둘도 없는 친구, 딱 한명이다.
7. 년간 기념일
-> 1주년, 2주년, 3주년...
100일 200일같은건 하지마라!
위를 벗어나는것은 이벤트 자금이 아니다!
웬만하면 다른건 챙기지 말고 굳이 돈을 쓴다면 본인의 한 달 예산 안에서 아껴서 사용해야지 이벤트 자금에서 꺼내쓰면 안된다.
09:28
선물을 줄 땐 평소 상대방과의 대화를 유심히 살피고 그러한 히스토리가 담긴 선물을 준비하라.
이러한 고민 없이 현금으로 때우게 되면 큰 돈이 나가게된다.
고민이 담긴 선물과 손편지가 더 큰 감동을 줄것이다.
12:30
이벤트 자금의 규모는 월평균 소득의 20%이내로한다.
ex) 월 소득이 300만원인 경우 300만원 * 20% = 60만원
MAX 60만원 / 7 = 8.5만원
이벤트마다 8.5만원은 결코 작지 않은 돈이다.
13:54
나이가 30대 후반정도라면 인간관계도 가지치기를 해야한다.
인생을 발전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나에게 좋은 영향력을 주는 친구를 만나야한다.
만나서 추억 이야기, 게임, 술만 하게 되는 친구라면 조금씩 가지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경조사비도 줄일 수 있다.
15:26
친구 지인 구분법?
우리 엄마나 내 와이프가 그사람 이름을 안다면 친구, 모른다면 지인이다.
평상시에 이런 부분을 잘 정리해두지 않으면 생각보다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16:45
계절지출 통장의 예산은 월평균 소득의 1배 이내이어야한다.
계절지출은 명절, 이벤트, 여행, 겨울옷으로 나눠서 사용해야하고
비율은 위 사진과 같다.
물론 비율은 달라질수도 조정할 수 도 있다.
마지막에도 이야기 했지만 비율 등은 언제들지 조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형제나 애인이 없는 사람은 이 금액을 다른 이벤트 자금에 쓸 수 있을것입니다.
정성스러운 선물로 선물 비용을 아꼈다면 이 금액도 다른 이벤트 자금에 쓸 수 있을것입니다.
부모님의 생일은 조촐하게 보내고 어버이날을 좀 더 특별하게 보낼 수 있을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를 지출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계획대로 지출했느냐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