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028 엄지포트 v1.1로 리뉴얼되었습니다!
https://thumbking.tistory.com/27
지인에게 소개하기 위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엄지포트 v1.1
https://thumbking.tistory.com/22 지인에게 소개하기 위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엄지포트 v1.0투자를 잘 모르지만, 투자를 시작하고 싶어 하는 지인들에게 소개하는 포트폴리오이다.투자를 처음 시작하
thumbking.tistory.com
==========================================================================================
투자를 잘 모르지만, 투자를 시작하고 싶어 하는 지인들에게 소개하는 포트폴리오입니다.
투자를 처음 시작하여 증권사 계좌도 없는 상태라면 처음부터 ISA 계좌를 만들어 투자를 시작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자산배분 전략은 자산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전략이입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더 높은 변동성과 수익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이 포트폴리오에도 제 성향이 반영되어있습니다.
적절한 인용은 아니겠지만 워렌 버핏도 변동성이 투자자의 좋은 친구라는 이야기를 한 적 있듯이 변동성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을 가져선 안된다 생각합니다.
자산군 | 종목 | 기호 | 비율 |
미국주식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446720 | 18.75% |
미국주식 | KODEX 미국나스닥100TR | 379810 | 18.75% |
한국주식 | TIGER 200 | 102110 | 10.00% |
한국주식 | TIGER 코스닥 150 | 232080 | 2.50% |
미국채권 | TIGER 미국30년국채스트립액티브(합성H) | 458250 | 26.25% |
한국채권 |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 451530 | 8.75% |
금 | ACE KRX금현물 | 411060 | 15.00% |
자산배분에 원자재 항목을 포함하는것은 정석적인 방법이지만 국내에 만족할 만한 원자재 ETF가 없어 제외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원자재를 비선호하여 위 포트폴리오가 더 좋은 포트폴리오로 보입니다.
이렇게 무작정 따라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에 투자한 후 투자에 좀 더 관심이 생긴다면 이 포트폴리오의 취지도 이해할 수 있을겁니다.
1. 엄지포트는 자산배분을 기반으로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식의 비율이 50%로 60/40포트폴리오에 비해 주식 비율이 높고, 채권들은 최대한 듀레이션이 높은 상품을 선택하여 변동성을 키웠습니다.
미 국채는 환노출형 상품이 없어 어쩔 수 없이 환 헤지 상품으로 구성하였는데 변동성을 줄여줄것으로 예상됩니다.
(-> 엄지포트 v1.1에서는 환노출 상품으로 교체하였습니다.)
2. 위 포트는 최대한 다양한 상품을 포함해 여러 증시 현황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2.1 미국 주식만을 포함하는것이 더 좋은 성과가 예상되지만 한국 주식도 포함하여 국내 증시, 미국 증시 모두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였습니다.
2.2 국내 주식도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포함하여 두 시장의 차이점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였습니다.
2.3 미국 주식은 SCHD와 나스닥으로 구성하였는데 이 두 자산은 서로 성격이 달라 미국 증시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낮은 상관계수로 우상향 하여 현재까지 좋은 성적을 내준 조합입니다.
2.4 또한 SCHD에서 나오는 배당금은 투자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패시브 인컴에 대한 관심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5 채권 상품은 금리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만듭니다.
금리가 자산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왜 전 세계가 미국의 금리로 인해 시끌시끌해지는지 이유를 알 수 있게 될 것입니다.
2.6 금 또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최근 금값의 급격한 상승을 통해 안전자산의 의미를 알 수 있게 될겁니다.
3. 원자재를 포함하는 것은 요즘 전 세계를 힘들게 하는 인플레이션에 관심을 가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원자재도 포함하고 싶다면, 미국 상장 ETF PDBC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중은 원자재 7.5%, 금 7.5% 정도이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상장 ETF는 ISA 계좌에서 매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좀 더 적극적이고,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비트코인 7.5%, 금 7.5% 또는, 비트코인 5%, 금 5%, 원자재 5% 같은 포트도 생각해 볼 수 있을겁니다.
4. 본인이 조금 더 부지런한 투자자라면 다양한 계좌사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4.1 금의 경우 KRX 금현물 시장을 이용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ISA 계좌를 이용하여도 세금 혜택을 볼 수 있는것은 마찬가지지만, 비과세에 한도가 있어 아낄 수 있다면 아껴야합니다.
4.2 또한 연금계좌와 IRP를 이용한다면 과세 지연, 저율 과세 혜택도 누릴 수 있으며, 급여소득자라면 연말정산에서 환급도 받을 수 있습니다.
'재테크 > 자산배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지포트 v1.1 백테스트 결과(일간 데이터) (2) | 2024.11.11 |
---|---|
지인에게 소개하기 위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엄지포트 v1.1 (5) | 2024.10.28 |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결과 (2)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