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잠시 놔두는 주차장처럼 돈을 잠시 놔두는 금융 상품을 파킹형 상품이라고 합니다.
투자하다 보면 남는 현금이 생기기도 하고, 때때로 투자를 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예금에 가입하기엔 돈이 묶여있는 게 아쉬울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파킹형 상품을 이용하면 돈을 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불릴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파킹형 상품으론 파킹 통장, 파킹 ETF, CMA, RP, MMF 등이 있을 텐데
이번 글에선 파킹 ETF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1. KOFR(한국무위험지표금리) 지수 추종 ETF
https://www.kofr.kr/intro/RFRinfo.jsp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KOFR(Korea Overnight Financing Repo Rate) 공시 웹사이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kofr.kr
에 따르면
"KOFR란 Korea Overnight Financing Repo Rate의 약자로서,
국채·통안증권을 담보로 하는 익일물 RP금리를 사용하여 산출한 우리나라 RFR" 라고 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 쉽게 이야기 하자면
"만기가 하루짜리인 국채의 이자율" 이라 할 수 있을것같습니다.
즉, 내일 대한민국이 망하지만 않는다면 떼일 일이 없고,
대한민국 기준금리가 마이너스로 내려가지 않는 한 손실을 볼 일도 없을겁니다.
23년 07월 27일 기준으로 KOFR는 3.449%로
해당 상품에 투자하면 하루에 약 0.009%(3.449 / 365)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수수료, 세금 등 제외)
투자할 수 있는 ETF는 아래와 같습니다.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23160) (추천)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49170)
ARIRANG KOFR금리 (종목코드 453010)
HANARO K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3060)
2. CD금리 지수 추종 ETF
CD는 양도성 예금증서(Certificate of Deposit)의 약자입니다. 은행이 예금을 맡았다는 것을 인정하는 증서이며, 누구에게나 양도가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은행 입장에서 예금은 이자 지급을 약속하고 고객에게 돈을 빌린 것입니다. 따라서 CD는 은행이 단기 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CD의 만기는 통상 91일이며, 기준금리와 단기 자금시장의 상황에 따라 CD가 거래되는 가격, 즉 CD금리의 수준이 달라집니다.
출처 - https://m.samsungfund.com/fund/insight/house-view/view.do?seq=28
하우스뷰 |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전문가의 시장 분석 및 전망을 확인하세요.
www.samsungfund.com
아마 CD(negotiable Certificate of Deposit) 금리는
은행이 자신의 예금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의 수익률이라 볼 수 있을것같습니다.
아울러 3개월 CD금리는 대표적인 단기 기준금리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쉽게 이야기 하자면 "만기가 91일 짜리인 은행채의 이자율"이라 할 수 있을것같습니다.
마찬가지로 3개월 안에 대한민국 은행들이 망하지만 않는다면 떼일 일이 없고,
기준금리가 마이너스로 내려가지 않는 한 손실을 볼 일도 없을겁니다.
KOFR가 1일인데에 비해 CD금리는 91일로 기간이 늘어났으니(위험이 증가했으니) 수익률도 더 높은편입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같은 기간의 국채나 통안채보다 금리가 높게 형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합니다.
23년 07월 28일 기준으로 KOFR는 3.75%로
해당 상품에 투자하면 하루에 약 0.01%(3.75 / 365)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수수료, 세금 등 제외)
투자할 수 있는 ETF는 아래와 같습니다.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종목코드 357870) (추천)
히어로즈 CD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8210)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9580)
(ETN 상품은 제외하였습니다.)
3. MMF 지수 추종 ETF
MMF란 Money Market Fund의 약자로서,
증권사나 투자신탁회사의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이며,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 재 투자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내는 상품입니다.
현재로선 위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은
KBSTAR 머니마켓액티브 (종목코드 455890) (추천)
이 유일하므로 해당 상품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해당 상품은 KIS 시가평가 MMF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KIS 시가평가 MMF 지수는 잔존만기 3개월 이내 CP(기업어음, Commercial Paper), 단기 채권을 바스켓 종목으로 구성하고, KOFR(한국의 무위험지표금리, Korea Overnight Financing Repo Rate), 한국은행 콜금리, CD91(금융투자협회)의 성과를 반영하여 단기금융시장의 성과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출처 - http://www.kbstaretf.com/prod/finderDetail/44E4
KBSTAR 머니마켓액티브 - KBSTAR ETF
KBSTAR 머니마켓액티브44E4주로 3개월 이내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며, 유형내 Top-tier성과를 추구하는 머니마켓액티브 ETF
www.kbstaretf.com
23년 07월 28일 기준으로 KIS 시가평가 MMF 지수는 4.09%로
해당 상품에 투자하면 하루에 약 0.011%(4.09 / 365)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수수료, 세금 등 제외)
해당 지수의 만기는 약 40일로 앞선 CD 상품보다 만기가 짧지만, 구성종목 대부분이 CP로 되어있어
더 높은 기대수익률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번외. (손실위험)SOFR 지수 추종 ETF
SOFR은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의 약자로
1일간 미국 국고채를 담보로 하는 하루짜리 RP(환매조건부채권)거래에 기반한 단기 금리를 말합니다.
앞서 설명드린 KOFR가 이 SOFR를 따라 만들어진 지수인 만큼 앞서 설명드린 KOFR의 미국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생각하면 미국 달러로 미국 예금에 가입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보다 높고, 미국이 한국보다 더 안전한 나라이지만,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SOFR 지수 추종 ETF에 투자를 한다는것은 미국 달러를 매수하는것과 같기에
앞서 설명드린 세 상품이 매일같이 손실없이 우상향하는것과 다르게 환율에 따라 가격이 등락을 하게됩니다.
이 점을 양지하시고 투자에 임하셔야하며 투자할 수 있는 ETF는 아래와 같습니다.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5030) (굳이 추천한다면 이 종목)
TIGER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6610)
ACE 미국달러SOFR금리(합성) (종목코드 456880)
KBSTAR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5960)
히어로즈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60270)
ARIRANG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6200)
이상으로 파킹형 ETF의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저도 제 개인 사정 때문에 한동안 증권사에서 돈을 뺼 수가 없어 파킹형 ETF에 투자를 할겁니다.
아마
KBSTAR 머니마켓액티브 (종목코드 455890)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종목코드 455030)
이 두 종목에 돈을 넣어둘거같습니다.
SOFR는 비추천 해놓고 왜 투자하냐고 물으시면,
저는 이 상품의 위험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원화와 달러 두 포지션이 모두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글을 재테크 초보자분들을 대상으로 쓴것이기 때문에 이부분은 이해바랍니다.
'공부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치 프리미엄'의 탄생과 반복되는 역사 (1) | 2025.02.16 |
---|---|
IRP 투자한도 100% 국내상장 미국 장기 국채 ETF (4) | 2024.10.27 |
IRP 투자한도 100% 한국 초장기 국고채 ETF (0) | 2024.10.27 |
IRP 투자한도 100% 단기채 ETF (14) | 2024.10.25 |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 얼마나 이득일까? (0)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