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 43

사월의 크리스마스 [TQQQ 매수]

생각해 보니 이전에 TQQQ 매수 글을 올렸었습니다.https://thumbking.com/30 TQQQ 풀매수11월 04일(월) 예정대로 준비된 자금을 다 털어 넣으면서 TQQQ를 풀매수했습니다. 11월 4일이 서머타임 끝나는 첫 거래일이었는데, 이 부분을 확인 못 해서 좀 손해를 봤습니다. 게다가 바로 다음 날thumbking.com 이후에 리밸런싱 등을 하면서 보유 수량이 변경됐었는데 특별한 이유는 없이 리밸런싱만 진행한 거라 따로 포스팅할 생각은 못 했었습니다.요즘 포트폴리오 재정비를 위해 많은 시간을 쓰고 있는데, 포트폴리오 재정비가 완료되면 이런 부분까지 좀 더 섬세하게 계좌 인증을 해볼까 싶습니다. 오늘은 TQQQ를 단기 투자 관점에서 매수해 보았습니다. 이번 매수의 배경은 트럼프 취임 10..

금이 더 오를 수도 있지만… 일단 숏 때렸습니다

제 매매 내역을 공유하기에 앞서, 미리 말슴드리고 싶은 점이 있습니다. 저는 지금 금값이 반드시 고점이라거나 곧 폭락할 거라고 보는 입장은 아닙니다.'골드 숏을 잡는다'고 하더니 무슨 이야기인가 의아해하실 수도 있겠지만, 저는 골드는 숏, 실버는 롱에 투자하는 롱숏 전략을 시도해보려합니다. 아래는 제가 운용중이던 ISA 계좌인데, 한동안 고배당주를 들고 있다가 최근 급락장에서 나스닥 레버리지로 일부 종목을 교체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금/은 롱숏 전략으로 또 한 번 종목을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이래저래 큰 손실을 겪고 나니, 별별 시도를 다하게 된다는 생각이 드네요.구체적으로 매수한 살품은 다음과 같습니다.Kodex 골드선물 인버스(H) (종목코드 : 280940)Kodex 은선물(H) (종목코드 : ..

트럼프는 약점이 노출되지도, 꼬리 내리지도, 항복하지도, 쫄지도 않았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만 하면, 일부 미디어와 이른바 '전문가'들이 무작정 그를 깎아내리려 애쓰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물론 그의 거친 언행이나 정책들로 인해 피해를 봤다는 국가나 개인이 있을 수 있고, 그로 인한 증시 변동성이 부담이 될 수도 있습니다.그런데 문제는, "트럼프를 싫어해야 한다"는 식의 전제가 사회 전반에 깔려것은 상당히 거북스럽습니다.가장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트럼프의 압도적인 대선 승리에도 불구하고 선거 직전까지 미디어와 전문가들이 "트럼프를 지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반복해서 말했던 장면이 떠오릅니다.그로인해 우리나라에 발생한 잠정적인 피해는 아무도 책임지지 않죠.그리고 당장 저번주에 제가 포스팅했던 상호관세 제외 사건도 있었습니다.https://th..

스마트폰, 반도체 등 상호관세 제외, 월요일 나스닥 폭등각?

4월 12일(현지시간)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의 관세 제외 발표, 그 파장과 우려4월 12일(현지시간)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습니다.공지 내용에 따르면, 스마트폰·반도체 등 일부 품목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알려져 시장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1062 트럼프, 반도체 등에 상호관세 면제…별도 관세 오나(종합) - 연합인포맥스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기타 전자제품에 대해 상호관세를 면제했다. 삼성전자와 애플 등 전자제품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세관국경보호국(news.einfomax...

엄지포트 순자산 1억 원 돌파, 누가 투자해야 하나? [잠시 문 닫습니다]

안녕하세요, 엄지포트 운영자 엄지왕입니다.지난 24년 11월 29일에 엄지포트 순자산 5천만 원이 돌파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https://thumbking.com/31 엄지포트 순자산 5천만 원 돌파https://thumbking.tistory.com/27 지인에게 소개하기 위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엄지포트 v1.1https://thumbking.tistory.com/22 지인에게 소개하기 위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엄지포트 v1.0투자를 잘 모르지만,thumbking.com 그로부터 약 4개월이 지난 지금, 드디어 엄지포트의 순자산이 1억 원이 돌파했습니다. 먼저, 저를 믿고 엄지포트에 투자해주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그리고 엄지포트에 합류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계시겠지만, 현재 1억 원이라..

주요 지표와 트럼프가 싸운 한 주 [25년 3월 둘째주 시황분석]

[지난주 증시 리뷰]지난주(3/11~3/15) 국내 증시는 글로벌 불확실성과 정책 이슈 속에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국내 증시:코스피는 미국의 관세전쟁 우려와 외국인·기관의 순매도로 인해 2,566.36(-0.28%)에 마감하였으나, 코스닥은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와 반도체·로봇주 강세 덕분에 734.26(+1.59%)로 상승하였습니다.해외 증시:뉴욕 증시는 CPI·PPI 둔화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 심화 및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세를 보이다 주 후반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반등하여, 다우(+1.65%), S&P500(+2.13%), 나스닥(+2.61%)이 급등하였습니다.환율:달러-원 환율은 1,450원대에서 등락하며 1,453.80원에 보합 마감하였습니다.업종별:반도체·로봇주는 강세를 보인..

나...나닛...?! 관세 드리프트...! [관세 전쟁에 대응하기]

최근 미국 증시가 조정을 보이며 많은 투자자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8월 5일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인한 폭락을 제외하면, S&P500을 2주간 보유했을 때의 수익률 기준으로 이번 하락은 2022년 9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런 하락속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아쉽게도 저는 그런 방법을 잘 알지 못합니다.급락하는 시장을 마주하면 본능적으로 "이 하락에 대응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단기 변동성을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저는 대응하려 하기보다, 애초에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합니다. 그 방법이 바로 자산배분입니다. 최근 엄지포트에 투자 중인 분들도 계속된 하락으로 인해 어려..

관세! 관세! 관세! [25년 3월 첫째주 시황분석]

📌 금융시장 리뷰 (03월 03일~03월 08일)📅 03월 03일 (월) – 휴장환율 및 국내증시: 삼일절 대체공휴일로 휴장📅 03월 04일 (화) – 뉴욕증시 급락, 무역전쟁 우려 심화해외증시뉴욕증시 3대 지수 급락. 다우 -1.48%, S&P500 -1.76%, 나스닥 -2.64%트럼프, 멕시코·캐나다산 수입품 25% 관세 강행 발표 → 경기 둔화 우려 심화ISM 제조업 PMI(50.3) 예상치를 밑돌고, 신규주문 지수(48.6) 급락하며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엔비디아 -8.69%, 반도체·AI 관련주 급락, 반면 방산·필수소비재 상승미 국채금리 하락(10년물 4.178%), 달러 약세, 유로 강세, 달러인덱스 107선 붕괴WTI 2% 하락, OPEC+ 증산 결정환율달러-원 환율 1.60원 하락(..

트럼프 관세 발언과 AI 실적 불안 [25년 2월 넷째주 시황분석]

I. 금융시장별 일별 증시 및 환율 리뷰1. 해외 증시 일별 분석2월 24일 (월요일)시장 상황:뉴욕 증시는 당일 별도의 주요 경제지표 발표 없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 발언과 빅테크 관련 매도세에 힘입어 혼조세를 보였습니다.지수 동향:다우지수: 최근의 급락세를 극복하며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전반적인 불안감은 여전하였습니다.나스닥 & S&P 500: 기술주 위주의 하락세가 3거래일 연속 이어지면서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습니다.안전자산:미국 국채 가격은 해외 투자자들의 수요 증가와 위험회피 심리로 인해 상승세를 보였으며, 텍사스 제조업 지표의 급락이 경기 위축 신호로 작용하였습니다.2월 25일 (화요일)관세 발언 여파: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25% 관세 부과 한 달 유예”라는 발표..

금융 위기? 기회? 관세 긴장·연준 발언이 주도한 이번 주 [25년 2월 셋째주 시황분석]

제가 증시 리뷰를 쓰기 시작한 이유는 엄지포트 투자자분들께 주간 보고서를 발행해드리기 위해서였습니다. 포트폴리오 성과를 공유하면서 한 주간 있었던 각종 금융 이슈에 관해서도 이야기하고 싶었지만, 관련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직접 써보자는 마음으로 증시 리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약 2주간 리뷰를 작성하면서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만, 매일 글을 쓰는 일이 결코 쉽지 않기도 하고, 이 때문에 다른 글을 쓰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생기는 듯하여, 오늘은 처음으로 주간 증시 리뷰를 시도해보고, 당분간 증시 리뷰는 중단해볼까 합니다. 물론 가능하다면 앞으로도 주간 증시 리뷰는 계속 이어갈 계획입니다. 그동안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Ⅰ . 금융시장별 일별 증시 리뷰 ..